반응형
👩🏻💻컴퓨팅 사고로의 전환
📢 빠린한 머리로 문제를 풀어보는 시간
3주 동안 코듸 성능과 효율을 생각하는 프로그래머로 거듭나기 위한 준비 과정을 거친다!
스스로 공부하고 문제를 풀어가면서 컴퓨팅 사고로, 두뇌를 마랑하게 만들어 보는 과정이다.
매 주차별로 주어지는 문제 꾸러미를 풀어간다. 관련 챕터와 키워드를 스스로 찾아 공부하고, 팀원들과 함께 문제를 풀어나가면 된다.
👩🏻💻키워드 공부
WEEK01 : 배열, 문자열, 반복문과 재귀함수, 계산복잡도, 정렬, 완전탐색, 정수론, 분할정복, 이분탐색
- 키워드 위주로 공부를 한 후, 문제를 풀려고 하니, 문제에 따른 이론 공부를 추가적으로 해야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키워드 관련 공부는 정말 기본적인 개념과 코드만 확인하고, 문제를 풀면서 심화적으로 알아가는게
낫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문제를 풀면서 추가적으로 배운 사항에 대해서는 팀원들과 공유하는 시간을 갖었다.
👩🏻💻백준
백준 문제 번호 | 난이도 | 다루는 주제 | 문제 제목 | 관련 단원 | |
1 | 2557 | 하(하) | 기초 (입출력) | Hello World | |
2 | 10869 | 하(하) | 기초 (입출력) | 사칙연산 | |
3 | 2588 | 하(하) | 기초 (입출력) | 곱셈 | |
4 | 9498 | 하(하) | 기초 (조건문) | 시험 성적 | 1-1 |
5 | 2753 | 하(하) | 기초 (조건문) | 윤년 | 1-1 |
6 | 1085 | 하(하) | 기초 (조건문) | 직사각형에서 탈출 | |
7 | 2739 | 하(하) | 기초 (반복문) | 구구단 | 1-2 |
8 | 10950 | 하(하) | 기초 (반복문) | A+B - 3 | 1-2 |
9 | 2438 | 하(하) | 기초 (반복문) | 별 찍기 - 1 | 1-2 |
10 | 10871 | 하(하) | 기초 (반복문) | X보다 작은 수 | 1-2 |
11 | 2562 | 하(중) | 기초 (배열) | 최댓값 | 2-2 |
12 | 8958 | 하(중) | 기초 (배열) | OX퀴즈 | 2 |
13 | 4344 | 하(중) | 기초 (배열) | 평균은 넘겠지 | 2 |
14 | 2577 | 하(중) | 기초 (배열) | 숫자의 개수 | 2 |
15 | 15596 | 하(중) | 기초 (함수) | 정수 N개의 합 | |
16 | 11654 | 하(하) | 기초 (문자열) | 아스키 코드 | |
17 | 2675 | 하(중) | 기초 (문자열) | 문자열 반복 | |
18 | 1152 | 하(중) | 기초 (문자열) | 단어의 개수 | |
19 | 2908 | 하(중) | 기초 (문자열) | 상수 | |
20 | 2869 | 하(중) | 수학 |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 | |
21 | 1978 | 하(상) | 수학 | 소수 찾기 | |
22 | 9020 | 중 | 수학 | 골드바흐의 추측 | |
23 | 1065 | 하(상) | 수학 | 한수 | |
24 | 2628 | 하(상) | 수학 | 종이자르기 | |
25 | 10872 | 하(하) | 재귀함수 | 팩토리얼 | 5 |
26 | 17478 | 하(중) | 재귀함수 | 재귀함수가 뭔가요? | |
27 | 5568 | 하(상) | 재귀함수 | 카드놓기 | |
28 | 1914 | 하(상) | 재귀함수 | 하노이 탑 | 5-3 |
29 | 9663 | 중 | 재귀함수 | N-Queen | 5-4 |
30 | 1074 | 중 | 재귀함수 | Z | 5 |
31 | 2750 | 하(중) | 정렬 | 수 정렬하기 | 6-1 ~ 6-4 |
32 | 2751 | 하(상) | 정렬 | 수 정렬하기 2 | 6-5 ~ 6-8 |
33 | 10989 | 하(상) | 정렬 | 수 정렬하기 3 | 6-9 |
34 | 1181 | 하(상) | 정렬 | 단어 정렬 | 6 |
35 | 2309 | 하(중) | 완전 탐색 | 일곱 난쟁이 | |
36 | 2798 | 하(중) | 완전 탐색 | 블랙잭 | |
37 | 10819 | 하(상) | 완전 탐색 | 차이를 최대로 | |
38 | 10971 | 하(상) | 완전 탐색 | 외판원 순회 2 | |
39 | 14888 | 중 | 완전 탐색 | 연산자 끼워넣기 | |
40 | 2630 | 하 | 분할 정복 | 색종이 만들기 | |
41 | 1629 | 중 | 분할 정복 | 곱셈 | |
42 | 10830 | 중 | 분할 정복 | 행렬 제곱 | |
43 | 2261 | 상 | 분할 정복 | 가장 가까운 두 점 | |
44 | 1920 | 하 | 이분 탐색 | 수 찾기 | 3-3, 9 |
45 | 2805 | 하 | 이분 탐색 | 나무 자르기 | |
46 | 2110 | 중 | 이분 탐색 | 공유기 설치 | |
47 | 2470 | 중 | 이분 탐색 | 두 용액 | |
48 | 16564 | 중 | 이분 탐색 | 히오스 프로게이머 | |
49 | 8983 | 상 | 이분 탐색 | 사냥꾼 |
👩🏻💻협업 방식
서로 이야기를 많이 하면서 협업을 해야 문제 푸는데 늘어지지 않고,
서로 문제 풀이를 공유하면서 효율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을거라 생각해서 매일 진행할 것과, 날짜별로 진행할 사항을 정했다.
Help, Pre_Done, Done으로 구분하여 체크했다.
또한 코멘트 부분을 추가하여 개인적으로 필요한 사항을 적거나, 함께 이야기 하고 싶은 사항에 대해 작성하였다.
또한 팀원별로 체크 표시를 할 수 있게 하여, 다시 풀어보고 싶은 문제를 표시해두었다.
우리팀은 백준 자동화를 적용하여 깃허브 공유를 하므로써 서로의 코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반성
- 알고리즘들은 전부 키워드들이 연결되어 있는데, 당장 적혀있는 유형에만 초점을 두어 따로따로 공부했다.
- 시간 복잡도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코드를 작성하며, 시간 초과와 메모리 초과에 대한 사항을 고려하지 않아,
자주 수정이 필요했다. - 어려웠던 문제에 대해서 개념? 흐름? 보다는 정답코드를 외우게 되었던것 같다.
반응형
'Review > SW Jung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 사관학교 정글 9기] Week 04 회고록 (4) | 2024.09.15 |
---|---|
[SW 사관학교 정글 9기] Week 03 회고록 (1) | 2024.09.15 |
[SW 사관학교 정글 9기] Week 02 회고록 (0) | 2024.08.26 |
[SW 사관학교 정글 9기] 1주차 에세이 (0) | 2024.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