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컴퓨팅 사고로의 전환
📢 빠린한 머리로 문제를 풀어보는 시간
저번주에 이어 이번주도 코드의 성능과 효율을 생각하는 프로그래머로 거듭나기 위한 준비 과정을 거친다!
스스로 공부하고 문제를 풀어가면서 컴퓨팅 사고로, 두뇌를 마랑하게 만들어 보는 과정이다.
매 주차별로 주어지는 문제 꾸러미를 풀어간다. 관련 챕터와 키워드를 스스로 찾아 공부하고, 팀원들과 함께 문제를 풀어나가면 된다.
👩🏻💻키워드 공부
WEEK02 : 스택, 큐, 우선순위 큐, 그래프(vertex, edge, node, arc), BFS, DFS, 위상정렬
- 이후의 키워드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그래프를 탄탄하게 해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 이를 위해 팀원들과 우선 책에 있는 그래프 종류를 하나씩 맡아서 알려주기로 하고 공부했다.
- 팀원들에게 알려주기 위해 공부를 하다보니, 내가 트리와 그래프에 대해 명확히 알지 못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제대로 알지 못하다보니 자료구조와 알고리즘까지 혼동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각각에 해당하는 개념부터 공부하고,
문제풀이를 시작했다.
👩🏻💻백준
문제 번호 | 난이도 | 다루는 주제 | 문제 제목 | 관련 단원 | |
1 | 10828 | 하 | 스택 | 스택 | 4-1 |
2 | 10773 | 하 | 스택 | 제로 | 4-1 |
3 | 9012 | 하 | 스택 | 괄호 | 4-1 |
4 | 17608 | 하 | 스택 | 막대기 | 4-1 |
5 | 2504 | 하 | 스택 | 괄호의 값 | 4-1 |
6 | 2493 | 중 | 스택 | 탑 | 4-1 |
7 | 2812 | 중 | 스택 | 크게 만들기 | 4-1 |
8 | 10000 | 상 | 스택 | 원 영역 | 4-1 |
9 | 6549 | 상 | 스택 |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큰 직사각형 | - |
10 | 18258 | 하 | 큐 | 큐 2 | 4-2 |
11 | 2164 | 하 | 큐 | 카드2 | 4-2 |
12 | 11866 | 하 | 큐 | 요세푸스 문제 0 | 4-2 |
13 | 3190 | 중 | 큐 | 뱀 | 4-2 |
14 | 11279 | 하 | 우선순위 큐 | 최대 힙 | 6-8 |
15 | 1655 | 중 | 우선순위 큐 | 가운데를 말해요 | - |
16 | 1715 | 중 | 우선순위 큐 | 카드 정렬하기 | - |
17 | 13334 | 중 | 우선순위 큐 | 철로 | - |
18 | 1991 | 하 | 그래프 탐색 기본 | 트리 순회 | 9-1 |
19 | 5639 | 하 | 그래프 탐색 기본 | 이진 검색 트리 | 9-2 |
20 | 1197 | 하 | 그래프 탐색 기본 | 최소 스패닝 트리 | - |
21 | 1260 | 하 | 그래프 탐색 기본 | DFS와 BFS | 9-1 |
22 | 11724 | 하 | 그래프 탐색 기본 | 연결 요소의 개수 | - |
23 | 2606 | 하 | 그래프 탐색 기본 | 바이러스 | - |
24 | 11725 | 중 | DFS | 트리의 부모 찾기 | - |
25 | 1707 | 중 | DFS | 이분 그래프 | - |
26 | 21606 | 중 | DFS | 아침 산책 | - |
27 | 14888 | 중 | DFS | 연산자 끼워넣기 | - |
28 | 2573 | 상 | DFS | 빙산 | - |
29 | 2617 | 상 | DFS | 구슬 찾기 | - |
30 | 2178 | 하 | BFS | 미로 탐색 | - |
31 | 18352 | 하 | BFS | 특정 거리의 도시 찾기 | - |
32 | 1916 | 중 | BFS | 최소비용 구하기 | - |
33 | 2665 | 중 | BFS | 미로 만들기 | - |
34 | 7569 | 중 | BFS | 토마토 | - |
35 | 3055 | 중 | BFS | 탈출 | - |
36 | 2294 | 상 | BFS | 동전 2 | - |
37 | 2252 | 하 | 위상 정렬 | 줄 세우기 | - |
38 | 2637 | 중 | 위상 정렬 | 장난감조립 | - |
39 | 1432 | 상 | 위상 정렬 | 그래프 수정 | - |
40 | 1948 | 상 | 위상 정렬 | 임계경로 | - |
👩🏻💻협업 방식
1주차때와 마찬가지로 서로 이야기를 많이 하면서 협업을 해야 문제 푸는데 늘어지지 않고,
서로 문제 풀이를 공유하면서 효율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을거라 생각해서 매일 진행할 것과, 날짜별로 진행할 사항을 정했다.
이번 팀도 전주와 마찬가지로 Help, Pre_Done, Done으로 구분하여 체크했다.
또한 코멘트 부분을 추가하여 개인적으로 필요한 사항을 적거나, 함께 이야기 하고 싶은 사항에 대해 작성하였다.
또한 팀원별로 체크 표시를 할 수 있게 하여, 다시 풀어보고 싶은 문제를 표시해두었다.
우리팀은 백준 자동화를 적용하여 깃허브 공유를 하므로써 서로의 코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개념 정리칸을 분리하여, 각자가 공부한 개념을 서로 공유하였다.
👩🏻💻반성
- 하, 중이라고 되어 있는 문제에 대해서도 어려웠던 부분들이 많았다. 처음 문제를 보고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방법에 대해 어려움을 느껴 상 문제는 아예 시도도 하지 못했던 점이 아쉬웠다.
- 다양한 방식으로 문제를 풀어보고 있지만, 아직 나에게 효과적인 방법을 찾지 못한것 같다.
- 제대로 문제를 풀었다기 보다는 할당량을 채워야 한다는 조급함에 나에게 맞는 공부법을 제대로 찾지 못하고 이해만 하고 넘어간 문제도 많았다너 것이 아쉬웠다.
- 또한 1주차와 연계된 키워드들이 많아서 1주차의 내용을 복습해야했다. 1주차의 공부가 부실했다는 것을 느꼈다.
반응형
'Review > SW Jung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 사관학교 정글 9기] Week 04 회고록 (4) | 2024.09.15 |
---|---|
[SW 사관학교 정글 9기] Week 03 회고록 (1) | 2024.09.15 |
[SW 사관학교 정글 9기] Week 01 회고록 (0) | 2024.08.25 |
[SW 사관학교 정글 9기] 1주차 에세이 (0) | 2024.08.10 |